-식중독 발생 위생취약시설 집단급식소, 음식점 등 사전 예방 지도·점검 강화

-여름철 대비 선제적 식중독 예방관리 강화를 위한 식중독 예방 캠페인 실시

〔스포츠서울│수원=좌승훈기자〕경기도는 식중독사고 발생 위여험이 높은 여름철 손 씻기 등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13일 도에 따르면 5월 말 기준 도내 식중독 발생 건수는 72건(환자 수 66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발생 건수 48건(환자 수 820명)에 비해 신고 건수가 크게 증가했다.

지난 2018년 부터 022년까지 도내 발생 식중독 건수는 264건으로 한 해 평균 52.8건이며, 월별 식중독 발생은 5월 27건, 6월 23건, 7월 33건, 8월 31건, 9월 31건 등 해마다 날씨가 더위지기 시작하면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도 식품안전정책지원단의 분석 결과를 보면 전국 대비 인구의 26%가 몰려 인구밀도가 높다. 전국 대비 음식점은 21%, 집단급식소는 14%로 높은 비중인 가운데 전국에서 최근 5년간 식중독 사고 비중도 19.3%로 높아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균성 식중독(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등)은 여름철인 6~8월에 주로 발생하고, 바이러스성 식중독(노로․로타바이러스)은 겨울철인 12~2월에 발생률이 높다.

이와 관련 도는 △취약계층 및 다소비식품의 안전한 식품제공, 식중독 예방을 위한 일제점검 △전통시장 위생관리 및 식중독 예방을 위한 교육 및 홍보 △식중독 발생 시 신속대응을 위한 모의훈련 △G-버스를 통한 식중독 예방 홍보영상 송출 등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식중독 발생 시 대처가 어렵고 대규모 환자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도내 사회복지시설 내 급식시설과 산후조리원 급식시설 1444개소를 대상으로 이달 일제점검을 실시하고, 식재료 보관기준 준수 여부, 소비(유통)기한 경과 제품(원료) 사용 여부, 식품의 위생적 취급과 기구 세척‧소독 등 급식시설 위생관리를 점검한다.

7월에는 여름 휴가철을 대비해 고속도로휴게소, 놀이시설, 해수욕장, 워터파크 주변 음식점과 배달 전문 음식점을 집중적으로 살핀다. 식중독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위해 31개 시군에서 현장 대응 모의훈련도 진행하고 있다.

또 △손 씻기 △칼․도마 구분 사용하기 △익혀 먹기 △끓여 먹기 △ 식재료․조리기구 세척 소독하기 △보관 온도 지키기 등 G-버스 식중독 예방 홍보영상은 7월부터 송출한다.

인치권 식품안전과장은 “여름철 식중독 주요 발생 원인인 살모넬라와 병원성대장균의 예방을 위해 계란과 가금육 취급 시 교차오염에 주의하고, 고온․다습으로 세균 증식의 우려가 있는 식품은 완전히 익혀 먹기”를 당부했다.

[email protected]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