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서울 | 박준범 기자] 대한테니스협회가 대한체육회의 중단 요청에도 회장 보궐선거를 강행한다.

테니스협회장 자리는 여전히 ‘공석’이다. 지난해 8월 정희균 회장이 자진해서사퇴했다. 60일 이내에 보궐 선거를 치러야 한다는 정관에 따라 10월 말 새로운 회장을 선출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국정감사에서 일부 후보자 자격 논란이 불거졌고, 선거는 곧바로 중단됐다.

이에 지난 4월에 진행된 감사원 감사는 ‘처분의 실익이 없음’을 이유로 종결됐다. 테니스협회는 선거 재개를 요청하는 공문을 체육회에 보냈다. 하지만 체육회는 오히려 관리단체 지정 심의위원회 출석을 요구했다.

테니스협회는 반발했다. 체육회는 지난달 31일 이사회에서 관리 단체 지정을 한 달간 유예한다고 결정했다. 체육회는 전제조건으로 채무 전액 탕감 확인서에 대해 법적 공증을 받아 오는 30일까지 제출하면 관리 단체를 지정하지 않겠다고 했다. 제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달 1일, 자동으로 관리 단체로 지정된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테니스협회는 과거 2015년 육군사관학교 테니스장 리모델링 사업을 맡는 과정에서 미디어월로부터 30억원을 빌렸다. 이자를 포함해 미디어월이 탕감해 주기로 한 잔여 채무는 총 46억1000만 원이다.

미디어월은 이미 공문을 통해 테니스협회가 전제조건을 충족하고, 관리 단체 지정이 되지 않고, 운영이 정상화된 경우에 대승적 차원에서 테니스협회의 상환액을 제외한 잔여 채무 전액 탕감을 약속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전제조건은 테니스협회가 미디어월과 채무 관계를 협회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지하고, 홈페이지에 올라온 미디어에 대한 잘못된 뉴스 등을 즉각 삭제 조치, 결과보고서 발간 후 시도협회 및 연맹체에 전달하는 것이다.

테니스협회가 관리 단체로 지정되면 이 약속도 사실상 지키기 어려워진다. 테니스협회는 결국 5일 긴급 임시 대의원총회를 통해 체육회의 허가와 관계없이 선거를 재개하기로 결의했다. 테니스협회는 18일 공식 채널을 통해 후보자 3인(예종석, 곽용운, 주원홍)을 등록하고 공고했다. 선거인명부도 확정했다. 19일에는 후보자 선거공보를 게재했다. 선거는 오는 23일에 치러진다.

체육회는 최근 2차례 테니스협회의 선거 중단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체육회의 승인 없이 선거가 치러지는 만큼, 테니스협회는 향후 회원 단체로서의 강등·제명 등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 [email protected]

기사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