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1200명·도내 중․고등학생 1071명 설문조사 실시...현금·이용권 통해 학부모가 직접 구입

-교복 통합지원 정책 우선 지원 품목으로 캐주얼한 옷, 체육복 선호

〔스포츠서울│수원=좌승훈기자〕경기도민을 비롯한 중․고등학생 3명 중 2명은 학교가 직접 교복을 구매해 지급하는 현재의 방식을 현금이나 이용권을 통한 학부모가 직접 구입하는 방식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경기도교육청은 21일 ‘교복 지원 정책’을 주제로 도민과 도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도민의 68%, 도내 중․고등학생의 65%가 ‘현금․바우처 지원을 통한 학부모 직접 구입 방식’에 대해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특히 중학생과 고등학생 학부모 층은 각각 73%, 74%로 더 높게 나타났다.

도교육청은 2019학년도 중학교 신입생부터 학교주관구매를 통해 교복을 현물로 지원해왔다. 올해 신입생부터는 지원단가를 1인당 30만 원에서 40만 원으로 인상하고, 지원 범위를 생활복·체육복 등으로 넓히는 등 품목을 학교 자율로 결정하는 교복 통합지원을 하고 있다.

올해 신입생부터 적용되고 있는 교복 통합지원 정책을 통해 학교에서 지원해야 할 품목 순위를 두고서는도민과 학생의 의견이 엇갈렸다.

도민은 △정장형 교복(38%)을 1순위로 꼽았다. 이어 △캐주얼한 옷(32%) △생활복(16%) △체육복(11%)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은 △정장형 교복을 대체해 활동성을 높인 캐주얼한 옷(39%)을 1순위로 꼽았으며, 이어 △체육복(34%) △정장형 교복(11%) △생활복(11%) 순으로 답했다.

교복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묻는 설문에 대해서는 경기도민 87%가 필요하다고 답했지만, 학생은 절반에 못 미치는 49%만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엄신옥 교육복지과장은 “이번 여론조사를 통해 교복의 다양화, 가격 안정화, 구매방식 개선 필요 등 다양한 요구를 확인했다.”라며 “수요자 선택권 확대 및 만족도 향상을 위해 정책 보완과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 5월 27일부터 3일간 만 19세 이상 경기도민 1200명 대상 전화 면접, 5월 30일부터 7일간 도내 중․고등학생 1071명 대상 모바일 설문조사로 진행했다. 여론조사기관은 한국리서치로, 전화 면접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83%p, 모바일 설문조사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2.99%p다.

[email protected]

기사추천